Home IT/기술 “한국 ICT 수출 4개월 연속 대기록, AI 기술이 던진 충격파”
IT/기술

“한국 ICT 수출 4개월 연속 대기록, AI 기술이 던진 충격파”

Share
"한국 ICT 수출 4개월 연속 대기록, AI 기술이 던진 충격파"
Share

한국 ICT 수출, 4개월 연속 200억 달러 돌파…AI 기술이 견인

2024년 11월, 한국의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이 205억 달러를 기록하며, 4개월 연속으로 200억 달러를 초과하는 성과를 나타냈다. 이는 주로 AI 관련 기술과 고성능 메모리 반도체, 저장장치 수요가 급증한 데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전년 동기 대비 30.3% 증가라는 기록적인 성장으로, ICT 수출은 한국 경제의 주요 동력원으로 자리 잡고 있다.

고성능 반도체와 저장장치 중심의 성장

2024년 11월 ICT 수출 중 반도체는 124.6억 달러로 최고치를 기록해 전체 수출액의 중심축을 형성했다. 특히, 데이터 센터와 AI 컴퓨팅에 활용되는 고성능 메모리 반도체인 HBM3와 SSD(고속 저장장치)의 수출량이 급증해 주요 시장에서 강력한 실적을 나타냈다. SSD의 경우 전년 대비 194.2%라는 경이로운 성장률을 기록하며, 한국 ICT 수출을 견인한 또 다른 주요 품목으로 부상했다.

주요 수출 시장인 미국과 베트남에서는 반도체와 SSD 수출이 눈에 띄는 성과를 보였으며, 특히 미국 시장에서의 성장은 AI 기술에 대한 높은 투자에 힘입은 결과로 분석된다. 중국 시장에서도 반도체 성장이 지속되고 있지만, 일부 품목에서는 글로벌 경기 둔화의 영향을 받아 감소 추세를 보였다.

ICT 무역수지, 견고한 흑자 기록

2024년 11월 ICT 무역수지는 80.6억 달러의 흑자를 나타내면서 견고한 수출 실적을 뒷받침했다. 특히, 반도체는 58.9억 달러의 무역 흑자를 기록하며 주요 기여 요인으로 작용했다. 디스플레이 역시 13.2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했으나, 글로벌 경기 둔화와 수요 약세로 인해 전년 대비 수출이 20.1% 감소했다. 또한, 통신장비는 5G 시장 확대에도 불구하고 2억 달러로 전년 대비 3.8% 감소세를 보여 지속적인 개선 필요성을 시사했다.

한편, ICT 수입은 124.4억 달러로 8.8% 증가해 수출 못지않은 상승세를 이어갔다. 반도체 수입은 전년 대비 25.1% 증가한 65.7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컴퓨터 및 주변기기 수입도 12억 달러로 23.3% 증가했다.

일반 IT 업계의 침체 기류 지속

ICT 산업이 기록적인 성장세를 이어가는 반면, 전통적인 IT 업계는 여전히 침체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소프트웨어와 IT 컨설팅 분야는 코로나19 팬데믹 동안 과도한 확장과 재고 과잉의 여파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제조업과 자동차 산업 등 전통적인 IT 분야에서도 글로벌 경기 둔화의 영향을 피해가기 어려운 상황이다.

빅테크 기업들 역시 둔화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IT지수의 지난 12개월 매출 증가율은 평균 6.9%로, 과거 5년간 평균 10%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다. 주당순이익 역시 16% 증가에 그쳐, 이전 5년 평균인 21%를 하회했다.

IT 기술 활용과 데이터 거버넌스의 필요성

IT 기술의 활용도는 계속해서 높아지고 있다.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지역의 언론사와 기자들이 디지털 취재와 소통을 위해 소셜미디어, 이메일, 검색엔진 등의 플랫폼을 적극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고급 IT 기술의 활용률은 보도국 담당자 중 3분의 1 수준에 불과하며, VR 및 360도 카메라와 같은 최신 기술은 상대적으로 낮은 사용 비율을 보였다.

데이터 관리 체계의 중요성 역시 강조된다. 데이터 사일로(Silo)를 제거하고 데이터 거버넌스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비즈니스 효율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이라는 분석이다. 특히, 비즈니스에 적합한 데이터 아키텍처 개발 및 머신러닝(ML) 기술의 도입은 ICT 업계뿐 아니라 전반적인 IT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전망이다.

AI 중심 ICT 산업, 지속적인 혁신 필요

신시장 개척과 AI 중심 기술 혁신은 ICT 산업의 향후 성장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으로 지목된다. 특히, AI 기술과 데이터 센터 컴퓨팅에 필수적인 고성능 반도체 및 저장장치 수요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글로벌 경기 둔화와 일부 품목의 부진은 ICT 산업 전반에서 새로운 혁신과 시장 대응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한국 ICT 산업의 성장은 이미 글로벌 시장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내고 있으나, 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선 기술 개발과 혁신, 그리고 글로벌 고객 니즈를 충족하는 마켓 트렌드 대응이 필요하다. AI와 데이터 거버넌스 중심의 발전 방향은 미래 한국 ICT 산업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핵심 요소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Share
Written by
안 나린

IT/기술부 기자. 최첨단 기술과 IT 트렌드를 깊이 있게 분석해 전달합니다. 미래를 선도하는 기술 이야기를 쉽고 흥미롭게 풀어갑니다.

Leave a comment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Related Articles

포스코DX 15주년 기념 산업용 AI와 로봇자동화로 제조업 혁신의 새로운 시대 열다

포스코DX, 창립 15주년 맞아 산업용 AI와 로봇자동화로 ‘인텔리전트 팩토리’ 확산 가속화 포스코그룹의...

물류 자동화 로봇이 산업 패러다임을 뒤집는다

물류 자동화 로봇, 산업의 패러다임을 전환하다 최근 물류 산업에서 자율주행로봇 및 인공지능(AI)을...

물류 산업의 미래를 바꿀 혁신적 로봇 자동화의 등장

로봇 자동화 기술, 물류 산업의 혁신을 이끌다 최근 물류 업계에 기술 혁신을...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 슈퍼블록과 손잡고 블록체인 혁명 이끈다!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 슈퍼블록과 파트너십 체결… 글로벌 블록체인 시장 선도 도전 2025년 1월 2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