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사회 사회적기업과 ESG활동이 이끄는 지역경제 대변혁의 서막
사회

사회적기업과 ESG활동이 이끄는 지역경제 대변혁의 서막

Share
사회적기업과 ESG활동이 이끄는 지역경제 대변혁의 서막
이해를 돕기 위해 AI 생성된 이미지로,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연관은 없습니다.
Share

사회적기업과 ESG활동: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

최근 기업과 정부, 그리고 지역사회가 협력하여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환경·사회·지배구조(ESG) 활동을 강화하는 사례들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지속 가능한 경제 발전과 함께 지역 상권의 활성화 및 환경 보호에 기여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잡고 있다. 본 글에서는 사회적 기업과 ESG활동이 결합된 여러 사례들을 중심으로 그 중요성과 성과를 살펴본다.

석유공사와 지역경제 활성화: S-OIL 샤힌 프로젝트

울산시 울주군 온산 일대에서 진행 중인 S-OIL의 ‘샤힌 프로젝트’는 국내 석유화학 산업 사상 최대 규모의 투자로서 단순한 산업 프로젝트를 넘어 지역 경제 활성화의 모범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세계 최대 규모의 에틸렌 생산설비와 플라스틱 원료 생산공정을 목표로 하며, 총 9조 2,580억 원이 투입된다.

샤힌 프로젝트는 다양한 경제적 효과를 불러일으키며 지역 상권과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약 2조 원의 경제 효과가 기대되며, 공사가 완료된 이후에도 매년 900억 원의 경제 효과와 330억 원의 지방세 수익 증가가 예상된다. 현재 공사현장에는 약 1,500~2,000명의 근로자가 투입되고 있으며, 2024년 초에는 하루 평균 1만 명 이상의 근로자가 참여하게 될 전망이다. 이로 인해 지역의 원룸, 식당, 도시락 업체 등은 전례 없는 경제적 호황을 경험하고 있다.

특히 젊은 청년 근로자와 조선업 근로자들의 유입으로 울산 지역의 미포공단과 원룸촌은 수요가 급증하며, 외국인 근로자와 일용직 근로자의 증가로 주변 상권이 재도약의 기회를 맡고 있다. 이처럼 대규모 프로젝트가 단순히 기업의 이익 향상을 넘어 지역 경제와 사회의 활력을 불러일으키는 선순환 효과를 일으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

한화손해보험의 ESG 경영: 환경보호로 인정받다

한화손해보험은 환경부장관상을 수상하며 ESG 경영의 대표 주자로 떠오르고 있다. 이 회사는 전자제품 재활용 공제조합 ‘E-순환거버넌스’와 함께 폐전기·전자제품의 자원순환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며 환경 보호 활동에 앞장섰다. 구체적으로, 사내에서 발생하는 폐사무기기를 주기적으로 회수하여 재활용하며, 임직원을 대상으로 가정 내 폐가전제품을 무상으로 수거하는 캠페인을 시행했다.

이 외에도 한화손보는 지속 가능한 내일을 위한 자원순환 캠페인에 동참하며 ESG 경영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은 친환경 기업문화 조성과 환경 보호에 기여하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는 한편 환경 친화적 미래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워커힐 호텔앤리조트: 친환경 호텔의 선구자

워커힐 호텔앤리조트는 친환경 호텔로서의 변화를 선도하며 ESG 경영의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종이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디지털화, 친환경 어메니티 및 객실 비품 사용, 대용량 디스펜서 및 친환경 비건 객실 운영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지속 가능한 경영을 실천하고 있다.

또한 호텔 내 셔틀 차량을 전기차로 교체하고 전기차 충전기를 설치하는 등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고객들에게는 비건 메뉴와 로컬푸드를 제공하며,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식문화를 지원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Go Green’ 친환경 상품 판매 및 ESG 선물 세트를 통해 고객들의 친환경 라이프스타일을 독려하고 있다.

지역경제 활성화: 지자체와 기업의 공동 노력

지역 상권의 활성화를 위해 지자체와 기업 간의 협력 사례들은 지역 경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울산시 중구는 공공기관과 소상공인이 함께하는 상생 지원 업무 협약을 체결하며 지역 행사를 통해 경제 활동을 독려하고 있다. 속초에서는 ‘전국우수시장박람회’, 강원도에서는 ‘동네상권발전소’ 등의 사업이 적극 추진 중이다.

성남시 역시 MZ세대가 찾는 카페와 상점들을 중심으로 지역 대표 상권을 육성하고 있으며, 남원시는 백종원 더본코리아와 협력해 골목상권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지자체의 전략적 지원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모델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사회적 기업과 ESG 경영의 중요성

사회적 책임과 ESG 경영은 단순히 기업 이미지 개선을 위한 활동이 아니라, 지속 가능한 미래를 설계하는 핵심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S-OIL의 샤힌 프로젝트, 한화손보의 자원순환 캠페인, 워커힐 호텔앤리조트의 친환경 호텔화와 같은 사례들은 기업이 지역 경제와 환경, 사회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극대화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지역 상권 활성화와 ESG 활동의 결합은 기업과 지역사회 간의 상생 모델을 창출하며,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과 환경 보호에 기여하고 있다. 앞으로도 이러한 선도적인 사례들이 확산되어 보다 많은 기업과 지역사회가 협력하여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어가기를 기대해 본다.


키워드: 사회적기업과ESG활동, ESG경영, 지역경제활성화, 친환경활동, 지속가능한경영

Share
Written by
한 지인

사회부 기자. 사회적 이슈와 현장의 목소리를 생생히 전하는 데 힘쓰고 있습니다. 따뜻한 시선과 꼼꼼한 취재로 독자와 소통합니다.

Leave a comment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Related Articles

명절 기부 혁명 지역사회의 따뜻한 연대가 시작됐다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따뜻한 설: 기업과 기관이 전하는 상생의 가치를 담은 다양한 사회공헌...

기후변화가 만든 복지의 최전선 통계청의 2025년 청사진

기후변화와 사회복지: 통계청의 2025년 전략이 가져올 변화 통계청이 2025년을 맞아 발표한 주요업무...

디지털 혁신이 바꿔놓는 사회복지의 미래를 향한 폭풍전야

디지털 기술과 혁신, 사회복지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다 디지털 기술이 의료 및 사회복지...

따뜻한 나눔이 사회를 바꾼다 설 명절 맞이 복지시설 위문 활동 급증

설 명절 맞이 사회복지시설 위문 활동 활발히 진행 2025년 설 명절을 앞두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