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유위니아 임금체불 사태, 해결책은 어디에? 노동자·정부·여론의 분노 커져
대유위니아그룹의 대규모 임금 체불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노동자들의 불만과 피해가 심화되고 있다. 해당 사태는 2022년부터 시작돼 현재까지 3개 계열사(위니아전자, 위니아, 위니아전자매뉴팩처링) 소속 총 2,087명의 노동자에게 체불된 임금만 약 1,196억 6,200만 원으로 밝혀졌다. 이는 국내 임금 체불 이슈 중에서도 그 규모와 심각성으로 인해 전국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체불 금액의 축적, 변제율의 부진
2022년부터 2024년에 이르는 기간 동안 대유위니아로부터 체불된 임금 규모는 약 1,196억 원에 달한다. 특히, 2023년 하반기에만 117억 7,100만 원의 추가 체불이 발생했다. 그러나 체불 임금의 청산율은 매우 저조하다. 현재까지 정부의 대지급금을 포함해 320억 7,100만 원이 지급됐으며, 이는 전체 체불임금의 19%에 불과하다. 남은 875억 9,100만 원의 체불액은 여전히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정부는 노동자들에게 약 94억 3,700만 원의 대지급금을 지급했지만, 이 중 실제 회수된 금액은 6,400만 원으로, 회수율이 0.6%에 그치는 상황이다. 이러한 부진한 회수율은 정부와 기업 간 책임 공방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자산 매각 계획과 실행의 부조화
대유위니아는 임금 체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사 소유의 주요 자산을 매각하겠다는 계획을 2023년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 제출한 바 있다. 주요 매각 대상 자산 중 하나인 대유몽베르 CC 골프장은 3,000억 원에 매각되었으나, 이 중 단 30억 원만 임금 체불 변제를 위해 사용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성남 대유위니아타워는 아직도 매각이 이뤄지지 않았으며, 선릉 대유타워는 670억 원에 매각되었지만, 이 역시 임금 변제에는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러한 자산 매각 계획과 실행 간의 큰 괴리로 인해 대유위니아의 임금 변제 의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으며, 비판 여론은 날로 거세지고 있다.
법적 조치와 국회의 반응
대유위니아그룹의 박영우 회장은 300명 이상의 근로자에게 지급해야 할 임금 및 퇴직금 347억 원을 체불한 혐의로 구속영장이 청구된 상태다. 그는 최근 구속 전 피의자 심문에 출석했으며, 이에 대한 사법적 조사도 진행 중이다.
한편,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는 이와 관련해 청문회를 개최했으나, 박영우 회장 부부는 청문회에 출석하지 않았고, 여야를 막론한 의원들의 강한 질타를 받았다. 국민의힘 김위상 의원은 임금 체불 청산이 더뎌지는 현실을 지적하며 강력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광주·전남 노동자의 고통, 체불 임금으로만 878억
특히 광주·전남 지역에서 대유위니아의 임금 체불로 인한 피해는 심각한 상황이다. 광주고용노동청 집계에 따르면, 해당 지역에서 2023년에 신고된 임금 체불 피해 노동자 수는 전년도 대비 418명 증가한 9,160명에 달했다. 체불된 임금 총액은 약 878억 원으로, 이는 전년 대비 39.2% 증가한 규모이다. 그러나 청산된 금액은 같은 기간 동안 11% 증가한 373억 원에 불과해 노동자들의 고통을 덜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다.
정책적 과제와 대중의 요구
대유위니아 사태는 단순 노동법 위반 사건을 넘어, 대규모 임금 체불의 구조적 문제와 정부·기업 간 역할 부재를 드러내는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피해 노동자들은 생계와 직결된 임금 체불 문제에 대해 신속하고 구조적인 해결책을 요구하고 있으며, 정부와 국회, 심지어 시민단체까지 나서서 이러한 사태의 모든 과정을 면밀히 감독하고 있다.
정치권에서도 대유위니아 사태를 심각하게 받아들여 다양한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 특히 국민의힘 김위상 의원은 정부와 기업이 확실한 변제 의지를 보여주지 않고 있는 점을 비판하면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노동계는 기업의 자산 매각 대금을 체불 임금 변제에 우선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법적 제도를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마무리
대유위니아 임금 체불 사태는 단순히 특정 기업의 문제에 그치지 않고, 근로자 권익 보호와 노동 시장의 신뢰 회복이라는 측면에서 중대한 함의를 지닌다. 정부와 국회, 지역사회가 공동으로 구조적 해결책을 마련하고, 기업이 책임을 다할 때 비로소 해당 사태는 종결될 수 있을 것이다. 체불 임금을 기다리는 노동자들에게 하루라도 빠른 대책이 실행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