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전년 대비 2.7% 상승… 상승세 둔화 멈추고 반등
미국 노동부가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를 발표하면서 물가 상승률이 전년 동기 대비 2.7%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10월의 2.6% 상승에 이어 반등한 결과로, 지난 7개월 간 이어진 상승세 둔화 흐름이 멈추었음을 보여줍니다. 이번 수치는 시장 예상을 충족하며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정책에 강력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주거비와 식료품 가격 상승이 CPI 상승을 견인
11월 CPI 상승을 주도한 주요 요인은 주거비와 식료품 가격 상승으로 분석됩니다. 주거비는 전월 대비 0.3% 상승하며 전체 CPI 증가분의 40%를 차지했고, 주택 임대료와 소유주 상당 임대료의 상승이 이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식료품 가격은 전월 대비 0.4% 상승했으며, 가정 내 식품 구입비는 0.5%, 외식비는 0.3% 증가하여 가정의 생활비 부담을 증가시켰습니다.
근원 CPI, 전년 동기 대비 3.3% 상승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년 동기 대비 3.3%, 전월 대비 0.3% 상승했습니다. 이는 10월과 동일한 수준으로, 지난 4개월 간 월별 0.3% 상승 폭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근원 CPI는 연준의 물가 안정 목표인 2%를 여전히 웃돌고 있어, 물가의 기조적 흐름에 대한 경계감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 상승
CPI가 시장 예상치와 부합하면서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금리가 0.25% 포인트 인하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 선물 시장은 현재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을 97.7%로 반영하고 있습니다. 만약 금리 인하가 이뤄진다면, 이는 올해 세 번째 금리 인하가 될 전망입니다.
CPI 발표 이후 시장 반응
시장도 소비자물가지수 발표에 즉각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뉴욕증시 정규장 개장 전 S&P 500 지수 선물이 강세를 기록했고,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안정적인 4.23%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이는 금리 인하 가능성에 따른 시장의 안도감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경제적 및 사회적 영향
물가 상승세는 2022년 6월 정점에 비해 낮아졌지만, 여전히 누적 가격 상승은 소비자들, 특히 저소득층 가정에 경제적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물가 상승과 노동 시장 냉각이 복합적 관계를 형성하는 가운데, 연준의 금리 인하 결정이 인플레이션 관리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경제 정책 결정 및 향후 인플레이션 경로를 둘러싼 논의는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며, 이는 소비자 및 시장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