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불법 굿즈 판매 논란, ‘오징어 게임 시즌2’의 그림자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오징어 게임 시즌2’가 글로벌 흥행몰이에 성공하며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중국 내 불법 행위가 다시금 논란의 중심에 섰다. ‘오징어 게임 시즌2’ 관련 굿즈의 불법 판매부터 불법 시청, 초상권 남용까지 다양한 문제점이 다수 드러나며 국제적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중국 내 불법 굿즈 판매, 심각한 수준
‘오징어 게임 시즌2’가 높은 인기를 얻으면서, 중국에서 관련 굿즈가 불법으로 판매되고 있다는 보고가 잇따르고 있다. 특히, 테무(Temu)와 알리바바 산하의 타오바오(Taobao) 같은 주요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이러한 불법 굿즈가 공공연히 거래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굿즈는 넷플릭스의 공식 라이선스를 받지 않은 상태에서 제작 및 유통된 것으로, 이는 지적재산권 침해에 해당한다. 이와 관련해 성신여대의 서경덕 교수는 “중국에서 이런 불법 활동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며 강도 높은 비판을 가했다. 그는 “한국의 문화 콘텐츠 관련 지적재산권이 무분별하게 침해되고 있는 상황을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불법 시청과 사전 리뷰, 플랫폼 문제 노출
중국은 넷플릭스가 공식적으로 서비스되지 않는 국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징어 게임 시즌2’는 중국 내에서 대규모로 불법 시청되고 있다. 이는 중국 내 불법 스트리밍 사이트 및 파일 공유 플랫폼을 통해 무단으로 유통되는 결과며, 국가 차원의 단속 미흡이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다.
특히 중국의 소셜미디어 플랫폼 ‘더우반(Douban)’에서는 ‘오징어 게임 시즌2’가 공식 공개되기 전부터 이미 약 6만 건 이상의 리뷰가 작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중국 내 소비자들이 불법 콘텐츠 시청을 일상적으로 행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한편, 저작권을 무시하는 문화가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초상권 남용과 짝퉁 상품 문제
또한, 중국 내에서 한류 스타들의 초상권이 무단으로 사용되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이는 단순한 불법 굿즈 판매를 넘어선 문제로, 초상권 침해와 짝퉁 상품 제작을 통해 중국의 특정 집단이 부당한 이익을 취하고 있는 실정이다.
서경덕 교수는 “중국은 그동안 한류 스타들의 이미지와 지적재산권을 남용해 수익을 올리는 방식으로 국제적 비판을 받아왔다”고 언급하며, “이는 단순한 불법상품 문제가 아니라, 한국 문화 콘텐츠 전체에 심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중국 당국의 소극적 규제, 국제적 비판 직면
중국 당국의 소극적인 대응 역시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 당시, 마스코트 ‘빙둔둔’의 지적재산권을 보호하기 위해 강력한 단속을 펼쳤던 것으로 미루어, 중국 정부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역량이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외국 콘텐츠에 대해서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서경덕 교수는 “중국 정부가 이러한 문제를 알고도 묵인하고 있다”며, “외국 콘텐츠에 대한 불법 행위를 철저히 단속하고, 자국민들의 저작권 윤리를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글로벌 시장에서의 부정적 영향
‘오징어 게임 시즌2’는 공개 후 세계 93개국에서 1위를 기록하며 넷플릭스 TV 쇼 부문에서도 최상위권에 올랐다. 하지만 중국 내 불법 행위 때문에 한국 콘텐츠 제작사들과 관련 라이선스 업체들은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입고 있다. 이로 인해 글로벌 시장에서 공정 경쟁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국제적 공조와 대응책 필요
중국 내 불법 굿즈 판매와 불법 시청 문제는 단순히 하나의 국가적 차원을 넘어, 국제적인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는 한 국가의 문화 콘텐츠 산업이 블랙마켓으로 인해 손해를 입고, 창작자의 정당한 권리가 침해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국제적 공조와 압력을 통해 이러한 불법 행위를 규제해야 한다는 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또한 각국의 정부 및 기업들이 글로벌 콘텐츠 보호를 위한 단속 체계를 강화하고, 소비자들에게 저작권 보호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캠페인을 활발히 전개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오징어 게임 시즌2’의 흥행 성공이 점차 세계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는 와중에, 불법 행위의 그림자가 한국 콘텐츠 산업의 발목을 잡을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글로벌 진출에 있어서 공정한 경쟁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Leave a comment